도서 요약본
  • 자기다움 리더십
    • 저자
    • 박정열, 박선웅
    • 출판사
    • 흐름출판
    • 출판년도
    • 2025년 05월
    • 분야
    • 경제경영
    오디오북 듣기 워드파일 다운받기 한글파일 다운받기 PDF파일 다운받기
자기다움 리더십
저자 : 박정열, 박선웅 / 출판사 : 흐름출판
교보문고   

박정열 외 지음
흐름출판 / 2025년 5월 / 240쪽 / 21,000원


▣ 저자 박정열 외

박정열 - 조직경영·인재개발 전문가. 현대자동차그룹 경영연구원·인재개발원 전임교수.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구성원 자기다움에 기반한 다양성 포용 리더십과 조직 역동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최근 ‘조직을 게임체인저로 만드는 변화 기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자기다움 철학에 기반한 미래 인재 육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반향을 일으켰다. 현재 한국산업교육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휴탈리티: 미래 인재의 조건』이 있다.

박선웅 - 정체성전문가,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교수.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데이턴대학교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노스이스턴대학교에서 사회 및 성격심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정체성의 심리학』이 있다.

Short Summary

직장인들의 소셜 플랫폼인 블라인드는 매년 직장에서 누리는 행복도, 일명 ‘블라인드 지수’를 발표한다. 블라인드의 2022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직장 행복도는 100점 만점에 41점으로 매우 낮았는데, 특히 사원과 대리 등 젊은 직원들의 행복도가 낮았다. 무엇이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회사생활을 불행하게 만들었을까? 가장 큰 원인은 업무 의미감, 즉 직장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일과 삶의 방향이 일치하는 정도가 낮다는 데 있었다. 업무 의미감이 직장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워라밸의 두 배, 그리고 사내 복지의 세 배를 넘었다. 사람들은, 최소한 이 시대 젊은이들은 단순히 먹고 살기 위해서만 일하지 않는다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결과이다.

많은 직장인들이 삶과 일, 조직과 자신에 대해 본질적인 질문을 던진다. ‘이 조직의 문화가 정말로 마음에 드는가? 나는 조직에서 제대로 인정받고 있는가? 내가 성장하고 보람을 느낄 기회를 조직에서 제공하는가? 이 직장에서 일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 일하는 이들이 무엇으로 움직이는지 그 본질을 이해할 때 리더는 구성원의 역량을 최대한으로 끌어낼 수 있다. 우리는 일에서 자신의 정체성, 개성, 즉 자기다움을 펼칠 수 있을 때 가장 자발적으로 움직이고 일에 깊이 몰입한다. 그리고 창의와 혁신은 이 몰입에서 자연스럽게 시작된다.

리더의 할 일이 여기에 있다. 구성원 저마다의 ‘자기다움’을 고해상도의 렌즈로 살펴 이들의 동력을 조직의 ‘우리다움’으로 연결하는 일, 일하는 개인의 욕구를 읽고, 일터를 그들의 뜻을 펼칠 수 있는 ‘활동 무대’로 만들어주는 자기다움 리더십이다. 조직이 구성원 저마다의 개성, 저마다의 인생 서사를 수용하고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갈 수 있다면 개인에는 성장이, 기업에는 성과가 따를 것이다.

두 저자는 사람을 이해하는 도구로 쓰여온 MBTI의 빈틈을 지적하며 ‘서사정체성(Narrative Identity)’이라는 심리학 개념을 제시한다. 어떤 경험을 거쳐 지금의 자신이 되었는지에 관한 이야기는 그 누구와도 같을 수 없는 고유한 개인성 그 자체이다. 자신이 써온 삶의 이야기를 조직에서도 계속해서 써 나갈 수 있을 때 사람들은 조직에 자신의 삶을 연결하고 업에 몰입한다. 이것이 저자들이 이야기하는 자기다움 리더십이다. 저자들은 구성원들의 자기다움을 어떻게 포용할 것인가를 실질적으로 고민하고 실행에 옮겨 조직과 일에 대한 구성원의 만족도를 비약적으로 끌어올린 현대자동차그룹, 쇼피파이, 위프로, 코스트코 등 국내외 다양한 경영 사례를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들의 리더십 원칙을 여덟 가지로 정리하여 소개하고 한 사람의 개성을 배려하고 적극 활용하는 환대의 리더십이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설득력 있게 전한다.

▣ 차례

들어가는 말 _ 무엇이 우리를 움직이게 하는가
서장 _ 한 사람의 세계가 일과 만날 때

1부 _ 빅블러의 시대, 조직 체질 예보

1장 _ 조직 성장은 리더의 인간관이 결정한다
2장 _ 하나의 기준이 아닌 저마다의 탁월함으로

2부 _ 고해상도의 렌즈로 구성원을 들여다보라

3장 _ 정체성, 사람을 움직이는 강력한 힘
4장 _ 정체성이 만개한 모습, 자기다움
5장 _ 매력적인 조직에는 ‘임플로이’가 없다

3부 _ 주저 없이 나아가는 자기다움 조직

6장 _ ‘이야기’를 쓸 수 있는 조직
7장 _ 조직은 안전한 실험실이 되어야 한다
8장 _ 빅블러 시대를 이기는 여덟 가지 리더십 원칙

맺음말 _ 가장 개인적이기에 가장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