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요약본
  • 글로벌 스트리밍 전쟁
    • 저자
    • 문성길
    • 출판사
    • 부키
    • 출판년도
    • 2025년 02월
    • 분야
    • 경제경영
    워드파일 다운받기 한글파일 다운받기 PDF파일 다운받기
글로벌 스트리밍 전쟁
저자 : 문성길 / 출판사 : 부키
교보문고 예스24  

문성길 지음
부키 / 2025년 2월 / 464쪽 / 29,800원


▣ 저자 문성길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같은 대학교 언론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마쳤다. 방송위원회, 현대방송을 거쳐 KT스카이라이프 콘텐츠본부장, 한국HD방송(현 스카이TV) 대표 이사, 경기콘텐츠진흥원 콘텐츠산업본부장 등을 지내면서 30년 넘게 국내 미디어콘텐츠 산업 분야에서 일했다. 현장을 떠난 뒤에는 K콘텐츠 글로벌화에 도움이 되는 분석과 연구에 힘을 쏟고 있다. 매일 홍제천과 안산을 산책하고 마포도서관에서 책을 읽거나 글을 쓴다. 저녁이면 넷플릭스나 디즈니+가 제공하는 영화나 드라마를 시청자 겸 비평가의 눈으로 감상하는 산책자이자 미디어콘텐츠 분석가다.

Short Summary

오늘날 퇴근한 직장인이 넷플릭스나 유튜브를 켜고 좋아하는 드라마 시리즈 한두 편을 보면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너무도 자연스러운 일상이 되었다. 그러나 우리 안방과 거실에 스며든 이 자연스러움의 수면 아래에서는 ‘전 지구적인 단일 채널’, ‘콘텐츠 문화 제국’을 건설하려는 야망을 지닌 거인들의 치열한 세계대전이 숨 가쁘게 펼쳐지고 있다. 이와 함께 <오징어 게임>, <기생충>, <흑백 요리사> 등 드라마, 영화, 예능 가리지 않고 한국의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다. 대단히 반가운 현상이지만 차분하고 객관적으로 한국의 영상 콘텐츠가 세계 시장에서 어느 정도의 지분을 차지하는지 살펴봐야 한다.

총성 한 발 들리지 않지만 이미 전 세계는 콘텐츠 세계대전을 치르는 중이라고 할 수 있다. 도대체 세계 콘텐츠 시장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 스트리밍 사업자들이 글로벌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주요 거점 국가와 펼치는 치열한 합종연횡 또는 포섭 전략은 우리에게 어떤 위기와 기회를 제공하는가? 폭풍처럼 몰아치는 이 콘텐츠 세계대전에서 K콘텐츠의 생존 방도는 무엇인가?

이 책은 이러한 긴급한 질문에 답하기 위한 책이다. 전반부인 1장과 2장에서 스트리밍 전쟁의 글로벌 전개 과정을 상세히 정리하고, 후반부인 3장과 4장에서는 K콘텐츠 자체에 대한 이해와 콘텐츠 세계대전의 격랑을 헤쳐 나가는 데 필요한 조언과 정책적 제안을 펼친다. K콘텐츠 고도화를 위해서는 콘텐츠 산업 생태계 전반의 역량이 강화되어야 한다. 저자는 이에 대해 현실적 과제와 방안을 살펴본다.

예를 들면 콘텐츠 인력의 양성은 실전을 통해 이루어져야만 실효성이 높은데 이를 위해 할리우드 현지에 ‘K콘텐츠 캠퍼스’를 만들자고 저자는 제안한다. 세계 콘텐츠 제작의 중심인 할리우드에서 창작자, 비즈니스맨을 위한 현장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콘텐츠 제작의 산실인 스튜디오도 더 이상 ‘한국형’ 스튜디오라는 이름 아래 국내 시장에만 머무는 구조에서 벗어나 미국에 진출함으로써 K콘텐츠와 할리우드 콘텐츠 제작을 병행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30년 넘게 국내 미디어콘텐츠 산업 현장에서 일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저자의 제안 내용은 매우 구체적이다.

영화와 드라마 마니아, 콘텐츠 애호가부터 K콘텐츠의 앞날을 진지하게 모색하는 업계 종사자들까지 이 책을 통해 넓고도 깊은 조망의 시간을 갖기를 바란다.

▣ 차례

시작하며

1장 글로벌 스트리밍과 넷플릭스

01 새로운 텔레비전의 탄생
02 글로벌 스트리밍의 다섯 가지 특성
03 할리우드를 대체하는 빅테크 세력
04 글로벌 스트리밍의 왕좌를 차지한 넷플릭스
05 글로벌 텔레비전 슈퍼파워의 등장

2장 글로벌 스트리밍과 로컬 콘텐츠

01 부상하는 로컬 콘텐츠
02 넷플릭스와 디즈니의 로컬 콘텐츠 전략
03 글로벌 주요 거점 국가와 로컬 콘텐츠
04 로컬 콘텐츠 생태계에 몰아치는 퍼팩트 스톰

3장 글로벌 현상이 된 K콘텐츠

01 K콘텐츠 축적에서 돌파로
02 ‘넷플릭스 효과’의 양면성
03 K콘텐츠에 다가오는 새로운 기회

4장 K콘텐츠의 고도화

01 글로벌 진출을 위한 인재 육성
02 건강하고 경쟁력 있는 콘텐츠 창작 기반 강화
03 K콘텐츠의 글로벌 소비 시장 확장
04 장기적 관점의 정책적 지원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