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이프 트렌드 2023
라이프 트렌드 2023
저자 : 김용섭 / 출판사 : 부키
김용섭 지음
부키 / 2022년 10월 / 375쪽 / 18,000원
▣ 저자 김용섭
Trend Insight & Business Creativity를 연구하는 ‘날카로운상상력연구소’ 소장. 트렌드 분석가이자 경영 전략 컨설턴트, 비즈니스 창의력 연구자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 GS, CJ, SK, 한화, 롯데, 포스코, 신세계 등 대기업 그룹사 및 주요 계열사와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외교부 등 정부 기관에서 2,800회 이상의 강연과 비즈니스 워크숍을 수행했고, 300여 건의 컨설팅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저서로 『ESG 2.0』, 『라이프 트렌드 2022: Better Normal Life』, 『결국 Z세대가 세상을 지배한다』,『프로페셔널 스튜던트』,『라이프 트렌드 2021:Fight or Flight』 등이 있다.
▣ Short Summary
인플레이션의 해가 된 2022년. 그런데 2023년은 인플레이션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보는 시각도 많고, 반대로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악화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분명한 것은 이 2가지 상반되어 보이는 상황 중 어떤 것이 오더라도, 우리가 가진 소비의 욕망에 근본적 변화가 찾아올 수 있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팬데믹과 경제 위기가 겹친 시기를 보낸 우리의 욕망이 진화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2021년 이전부터 이어져 오고, 2022년에 더 증폭된 트렌드 이슈들을 토대로, 2023년에 우리가 주목할 의식주와 라이프 스타일, 소비와 비즈니스, 사회와 문화, 그리고 우리의 욕망의 흐름을 들여다본다. 저자는 2023년 라이프 트렌드의 부제를 ‘과시적 비소비’로 명명하면서, 소비가 아닌 비소비를 과시하는 것을 메가트렌드로 꼽은 것은 이것이 파생시킬 수많은 트렌드 이슈가 많아서라고 말한다.
저자는 먼저 소비 트렌드는 기업 마케팅의 영향을 크게 받지만, 라이프 트렌드는 우리의 욕망 변화가 미친 영향, 사회적 변화가 미친 영향을 크게 받는다면서, ‘과시적 비소비’는 단지 소비 코드가 아니라 우리를 둘러싼 라이프 스타일이자 의식주의 욕망, 그리고 사회적인 거대 흐름이기도 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빈티지(vintage)가 새로운 럭셔리가 되어 욕망을 어떻게 주도하는지, 테니스가 왜 2030세대 여성들에게 새로운 욕망이 되었는지를 다루면서 ‘과시적’ 욕망의 새로운 방향도 엿본다.
그리고 대기업과 빅 테크 기업들이 원격/재택근무를 정착시키면서 확산될 워케이션(workation) 트렌드와 주요 국가들에서 만들어지는 디지털 노마드 비자(Digital Nomad Visa)가 우리의 라이프 스타일에 미칠 영향, 주 4일 근무가 현실이 되고 있는 상황과 그 속에 드러나는 욕망과 새로운 기회도 주목하고, 세컨드 하우스이자 전원주택에 대한 욕망이 어떤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지도 주목한다.
그리고 또 클린 테크(clean tech)가 가진 확장성이 새로운 부를 어떻게 이끌어 갈지, 그 속에서 나올 기회가 기업과 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줄지도 살펴보고, 로봇 택시와 반려 로봇이 일상에 들어오는 시대가 더 이상 미래가 아닌 현재라는 점도 다룬다. 아울러 디테일이 중요해진 도시, 스케일이 중요해진 외곽이자 로컬이 우리의 라이프 스타일과 욕망을 어떻게 바꿔 놓았는지, 절제의 시대가 만든 축소 지향과 극단적 효율성이 소비와 인간관계, 비즈니스는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도 살펴본다.
▣ 차례
프롤로그 - 당신의 욕망은 얼마나 바뀌고 있는가?
Guide to Reading - 2023년을 위한 20가지 질문, 그리고 16부류의 사람들
1 과시적 비소비
2 빈티지 시계와 빈티지 카, 욕망은 히스토리를 탐한다
3 테니스 붐, 왜 테니스는 새로운 욕망이 되었을까?
4 워케이션과 디지털 노마드 비자
5 주 4일 근무는 이미 시작된 미래!
6 대도시를 탈출하는 사람들과 세컨드 하우스
7 잘코사니와 샤덴프로이데
8 전방위로 확장하는 클린 테크
9 일상에 들어온 로봇 택시와 무인 공장, 그리고 당신의 위기
10 절제의 시대, 축소 지향과 극단적 효율성
11 취향의 디테일, 디테일의 과시
참고자료